2022. 11. 23. 17:00ㆍ카테고리 없음
RPA(Robotic Process Automation):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
구조화된 자동화 보다 더 심층된 자동화로,
로봇을 활용해서 엑셀 입력 등의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로 만들어 처리할 수 있다.
적용 효과: 평균 60% 이상의 업무 생산성 향상 (출처: KS아카데미 RPA 입문 책)
- 연간 약 2만 5천 시간 정도 시간 절약이 가능하고,
- Human Error를 없앨 수 있으며,
- 인간은 단순 반복 업무에서 가치 창출 업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.
RPA는 여러 프로그램이 있다.
MS에서 하고 있는 Power Automation도 있고, 삼성SDS에서 하는 Brity Works RPA도 있다.
AutomateOne이라는 것도 있다.
그 중에서 UiPath 프로그램이 제일 유명해서, 앞으로 그 툴을 활용해서 공부할 예정이다.
- 여기서부터는 RPA에 대한 개인 생각이다. -
참고만 해주길 바란다.
다들 'RPA 때문에 인간이 일할 곳이 없어지는 거 아닐까?' 를 생각한다.
개인적으로, 반은 맞지만, 반은 아니라 생각한다.
왜냐하면 RPA가 단순 반복업무를 줄여주는 건 맞지만,
'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' 보다는 '인건비를 더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'이기 때문이다.
회사 입장에서는 인건비는 계속 올라가는데,(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해)
Human Error가 생기는 업무를 맡기면 손해가 더 크다.
그래서 그런 일을 로봇이 하게 하고, 더 가치 있는 일들을 사람이 하게 만드는데 일조를 한다.
예를 들면, 인사팀이 개인에게 월급명세서 파일을 보낸다고 했을 때,
사람이 하게 되면 사원명을 틀리게 할 수도 있고, 잘못된 파일을 보낼 수도 있다. 그리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.
RPA로 하면 잘못 파일을 보낼 가능성도 적으며, 문제가 생기면 메일을 보내지 않게 하면 된다. 사람이 하는 것 보다 빠르게 처리 가능하며, 그 시간에 인사팀 직원은 다른 중요한 업무를 맡기면 된다.
소규모 회사의 경우는 불필요하다.
비용 대비 활용도가 낮을 수도 있다. 오히려 큰 회사에서 더 많이 도입하는 중이다.
1) 단순히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 RPA를 도입하기엔, 그 비용도 만만치 않다.
개인이 할수도 있지만, 회사에서 하게 되면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하는데, 그 비용이 있기 때문이다.
그러면 작은 회사의 경우 그 비용 보다는, 사람이 더 나을 수 도 있다!
2) 또, 작은 회사의 경우, 반복 업무가 그 정도로 많지 않다.
월급명세서 같은거 처리하는 업무가 작은 회사에서는 많을까? 그걸 개발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 대비 쓰기는 어렵다.
따라서, 단순히 인건비 때문에 꼭 RPA를 쓰진 않을 것이다. 그래서 인건비를 가치있게 쓰고 싶은 회사의 경우 자주 사용되고 있다.보통 금융권이나, 제조업계에서 많이 쓴다.
다음으로 'RPA로 다 개발해버리면 RPA 개발자들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?'를 생각할 것이다.
이 부분도 개인의 생각이지만, 그래도 성장 가능성은 높게 본다.
그 이유는 아래로 정리해본다.
1) RPA로 만든 개발프로세스를 유지보수가 꾸준히 필요하기 때문이다.
이미 개발된 프로세스로 잘 쓰고 있는데, 간혹 서비스가 업데이트 되면서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.
그런 경우에 유지보수를 해야하는데 그때 RPA 개발자들이 하는게 더 좋다. (안정성 등 때문에)
2) 그리고 RPA를 활용해서 개발할 내용은 더 늘어날 예정이기 때문이다.